OS란? Linux 기초 명령어, Linux 환경에서 NodeJS 설치, htop, net-tools
2021. 9. 29. 22:33ㆍBlockchain/Linux
/* OS */
* 개요
- OS란? Operating System, 운영체제
* 종류
- Window / Linux / Unix / Mac(Unix 기반)
* 개발 환경
- CLI (Linux) // Command-Line Interface, 300 입력 -> 290의 출력
- GUI (Window) // Graphical User Interface, 300 입력 -> 250~260 출력
서버는 곧 돈, 때문에 CLI 환경에서 개발하는게 좋음
/* Linux 기초 명령어 */
* 파이프라인, Pipeline // ' | '
- 사용 시 결과물을 바꿀 수 있음, 필터링 기능과 비슷하며 이중으로도 사용 가능
예시)
- ps -ef | grep node
- ls -al | grep test.txt
- ls --help | grep print
- ls --help | grep print | grep file // 이중 사용
* 기본 구조와 자주 쓰는 명령어
- 기본 구조 : [명령어] -[옵션]
예시)
- cd [폴더명] // 현위치 이동
- pwd // 현위치 확인
- ls // 현위치 내 파일 확인
- ls -al // 현위치 내 파일 상세 내용 확인
- vi // 파일 수정, 없으면 생성
- mkdir // make directory, 폴더 생성
- [명령어] --help // 해당 명령어에 대한 도움말 보기
- mv // 파일 이동 또는 파일명 수정
- mv ./test.txt ./sample/test.txt // 파일 이동
- mv ./test.txt ./test2.txt // 파일명 수정
- cat // 파일 내용 바로 보기 또는 결과물 이동
- cat test.txt // 파일 내용 바로 보기
- cat test.txt | grep error // 오류 확인
- cat ./test2.txt > ./test.txt // 결과물 이동(복사같지만 복사랑은 다름)
- ps // 프로세스 확인
- ps -ef // 사용 중인 프로세스 확인
- curl [URL] // URL 링크 내용 확인
- curl -O [URL] // URL 링크 다운로드
- apt-get // Advanced Packaging Tool, deb 형식의 패키지들을 관리해주는 툴
- node server & // 백그라운드에서 서버 실행
- sudo kill -9 [4자리] // 백그라운드 서버 종료
- ps -ef | grep node // 종료 전 실행 중인 프로세스 확인하려면
/* htop */
* 개요
- ps -ef의 내용을 그래프로 출력
* 설치 순서
1. sudo su // 관리자 로그인 2. 비밀번호 입력 // 비밀번호 입력 3. apt-get install htop // 설치 4. htop // 실행 5. exit // 관리자 로그아웃 |
/* Linux 환경에서 NodeJS 설치 */
* 설치 순서
1. sudo apt-get update 2. sudo apt-get install -y build-essential // -y == 설치 시 모두 yes처리 3. sudo apt-get install -y curl 4. curl -sL http://deb.nodesource.com/setup_14.x | sudo -E bash -- 5. sudo apt-get install -y node.js 6. node -v // node 설치 버젼 확인 7. npm -v // npm 설치 버젼 확인 8. ls 9. cd ~ 10. mkdir server // 폴더 생성 11. cd server // 생성한 폴더로 이동 12. npm init // npm 시작 13. ls // package.json 파일 생성 확인 14. npm install express 15. cd ~ 16. vi server.js // 파일 생성 후 hello world 찍는 코드 작성 17. node server // 결과물 확인 |
/* net-tools */
* 개요
- 네트워크 상태 확인 쉽게 해주는 툴
* 설치 순서
1. sudo apt-get install net-tools 2. netstat -na // 네트워크 상태 확인 |
'Blockchain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Window 환경변수, Linux 기초 명령어 3 (0) | 2021.09.30 |
---|---|
쉘(Shell)이란? Linux 기초 명령어 2, D2Coding 폰트와 Zsh 설치 및 설정 (0) | 2021.09.29 |